수원은 정조가 만든 계획도시입니다.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화산(지금의 경기도 화성)근처 수원에 모시면서 그곳에 살고 있던 사람들을 팔달산 아래로 옮겨 살게 한 곳이 지금의 수원입니다. 수원은 서양보다 약 100여년 앞선 신도시이며 철저한 계획에 따라 상업과 유통이 활발한 도시로서의 성격을 갖췄습니다. 더불어 화산에 있는 아버지의 능을 관리하고 지키기 위해 용주사라는 절을 만들었고, 수원화성 안에는 참배하러 올 때 머물 수 있는 행궁도 지었습니다.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지키고 자신의 개혁 정치를 이루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신도시가 바로 수원화성입니다.
기행주제
조선 정조 임금에 의해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수원화성 및 관련 유적들을 통해 정조의 효심과 함께 조선을 개혁하려 했던 정조의 의지를 알아봅니다.
기행코스
수원화성 ▶ 화성행궁 ▶ 용주사 ▶ 융건릉
이것만은 꼭 확인하세요
1. 정조가 수원화성이라는 신도시를 건설한 이유는 무엇일까요? 2. 오랜 세월 동안 훼손되었던 화성을 복원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 때문이었을까요? 3. 실학 사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은 무엇이 있나요? 4. 수원화성에서만 볼 수 있는 것들은 무엇이 있을까요?
연관 교과내용
사회 5학년 2학기 1. 1. 영조 · 정조 시기의 사회 발전 2. 달라지는 경제생활과 신분 질서 4. 서양 문물과 서학의 전래 5. 실학의 등장과 사회 개혁 노력
참고도서
『임금님희 효행길』, 가교출판
|